[공대생 개그]
대충 살펴보자면 두가지 정도의 뜻이 있다.
1. 공대생의 행동/생활/사고 패턴을 희화화한 개그
2. 공대생이 아니면 이해 못하는 개그
[공대생이 제일 많이 하는 3가지 말]
1. 밥 먹었냐?
2. 레포트 썼냐?
3. 저 여자 예쁘다.
너무나 유명한 얘기라 한번씩은 다 들어봤으리라. 공대에 입학하고 반년만 지나면 이것이 웃기려고 지어낸 얘기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.
정말 사실이다 이건
[간미연 3행시]
간단히 말해서
미분 가능하면
연속이다
이정도는 공대생이 아니라 이과생이면 대개 이해 가능할 듯.
특이하게도 이 개그는 이해 못하는 경우가 2종류다.
1. 미분 연속성을 이해 못하는 경우
2. 간미연이 누군지 모르는 경우
테레비를 거의 안보던 난(서울와선 티비만 있음 본다) 간미연이 누군지 몰랐다....
[무제]
세상에는 10종류의 사람이 있다. 공대생과 공대생이 아닌 사람
이 촌철살인의 개그를 단번에 이해했다면 당신도 이미 공대생.
이거 이해 되심니까? 이진수 10이므로 십진수 2이다.
[공대생과 매트릭스]
1. 일반인의 대화
A : 매트릭스 봤냐?
B : 그럼! 키아누 리브스가 멋지고 컴퓨터 그래픽이 블라블라블라...
2. 공대생의 대화
A : 매트릭스 봤냐?
B : 헉! 거기도 시험범위냐?
원문의 무슨 책 목차 보면 또는 사전 찾아보라는 말이 있다. 매트릭스를 간단히 행렬이라고도 한다.
[TTL]
'TTL'이 몰까..?...
Twenty's Life 스무살의 자유...?...
전기회로나 전자회로를 본 사람이라면..아래와 같이 생각을
Transister Transister Logic....
정보통신쪽에서는 또다른 TTL(Time To Live)..이 존재..
Through-The-Lens 렌즈를 통과한 빛의 양을 재는 노출 방식..
한때 나도 TTL 이었다. 가끔 Through the Lens라고 우겼다.
[삶과 죽음의 동일성]
증명) 흔히 싸우다가 보면 '반죽여버린다'는 말을 쓴다.
반죽음 = 1/2 죽음 = 1/2 삶
양변에 2를 곱한다.
죽음=삶.
